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은 Windows 운영 체제에서 Linux 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subsystem이다. 쉽게 말하면, 윈도우 유저가 리눅스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같은 것이다.
회사에서, 또는 집에서 여러 목적으로 Linux 환경이 필요할 때가 있을텐데 WSL을 이용하여 한 번 진행해보면 좋겠다. 나는 특히 Mac OS나 Ubuntu에서 개발을 처음 시작하다보니 Windows 환경에서 어려움을 느낄 때가 많았고, 결국엔 Cent OS 쪽에서 개발하고 배포해야 하는 경우도 많아서 WSL을 찾아보게 되었다.
설치 환경 확인
본격적으로 WSL을 설치하기 이전에, 본인의 데스크탑이 가상화 머신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간단하게는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성능 탭에서 가상화 : 사용
이라고 되어있다면, WSL을 설치할 수 있는 환경이다. 특히 나는 Windows 11 이기 때문에 자동 설치까지 가능하다.
WSL2는 윈도우 10 이상이어야 하고, 자동 설치는 어떻고 이런 정보가 더 많이 있지만 보다 상세하게 알아보고 싶다면, 공식 문서를 확인해보자.
이 외에도 조금 더 설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제어판 → 프로그램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에서 아래의 두 항목을 체크하고 컴퓨터를 리부트 한다.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 가상 머신 플랫폼
WSL 설치
Microsoft Store에서 Ubuntu를 설치하는 방법이 첫 번째이고,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아래 코드를 입력하는 것이 두 번째 방법이다.
wsl --install
두 방법 다 간단하다.
다만, WSL 설치 방법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GUI로 설명하는 편이 더 간단해 보이니 첫 번째 방법으로 선정하고, Microsoft Store에서 확인할 수 있는 WSL는 Ubuntu 외에 Debian, Kali Linux 도 있는데 지금 나에게 필요한 Ubuntu를 설치해야 하고 이 글은 일종의 기록용이니 Ubuntu 설치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추측컨대, 아마도 원리는 같을 것이다.
Microsoft Store
이 글 상단에서 WSL을 설명하기 이전에 첨부했던 링크는 Ubuntu 공식 페이지에서 WSL을 제공하고 설명하는 페이지인데, 바로 Microsoft Store에서 WSL을 설치할 수 있는 링크를 첨부해두었다.
Ubuntu 라고 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바로 열기 버튼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근데 가끔, 설정이 잘 완료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뜬다.
Installing, this may take a few minutes...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07019e
Error: 0x8007019e Linux? Windows ?? ???? ????? ???? ?? ????.
Press any key to continue...
이 때는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아래 코드를 한 줄 씩 입력해준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위 설정을 확실하게 반영하기 위해서는 리부트가 필요하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다.
Installing, this may take a few minutes...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0701bc
Error: 0x800701bc WSL 2? ?? ?? ?? ????? ?????. ??? ??? <https://aka.ms/wsl2kernel>? ??????.
Press any key to continue...
어, 그런데 또 에러가 났다. 이렇게 링크를 함께 첨부한 에러일 때는, 해당 링크에 들어가보면 좋다.
링크에 들어가보니, WSL 업데이트 패키지를 수동으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라는 뜻이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wsl\_update\_x64.msi
이었고, 간단한 설치 파일이다. 설치해준다.
설치를 완료하고 다시 Ubuntu 열기를 해보면 성공적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다.
UNIX username과 password를 2회 입력해주면 설치 완료. 이제 본격적으로 WSL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주먹구구식으로 설치를 하고 나니, 참고하기 좋은 글을 찾았다!
나와 상황이 완전히 같을 수는 없으니, 본인이 Windows10 이며 본 글에서의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공식 문서와 게시글을 한 번 참고해서 따라해보자.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에서 NVM 설치하기(CMD, PowerShell의 차이점까지) (4) | 2025.08.07 |
---|---|
WSL에 Elasticsearch 설치하기 (1) | 2024.02.07 |
Windows MySQL 압축파일(zip) 설치 방법 (1) | 2023.12.27 |
Tistory와 Obsidian 연동하기 (0)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