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5

Windows 에서 NVM 설치하기(CMD, PowerShell의 차이점까지)

NVM은 Node Version Manager의 약자로 Node.js 버전을 관리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쉽게 말하면, Node.js 버전들을 쉽게 설치하고, 바꿔쓸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회사에서 여러 용도로 Node.js를 사용하고 있는데, Node.js는 버전 차이가 크고, 프로젝트마다 필요로 하는 버전이 달라 매번 관리하기가 번거로웠다. 개발환경 자체도 Windows, Linux 자주 바뀌는데다 고객이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버전이 존재하니 각 OS에서 nvm을 설치하여 Node.js 버전을 관리해보려고 한다. 오늘은 그중 첫 번째, Windows 에서 설치하기와 설치 과정, 설치 후 실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해결책을 다룬다. Windows 에서 NVM 설치하기https://git..

IT 2025.08.07

WSL에 Elasticsearch 설치하기

WSL에 Elasticsearch 설치하기 회사에서 Elasticsearch 도입을 고려하고 있고, 이를 테스트하기 위해 숙지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래서 본격적으로 서버에서 사용하기 이전에 개인 PC에서 구현하여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연구한 다음 진행하고자 한다. 개인 PC의 환경은 Windows 이기 때문에 차후 구축할 서버인 Linux 환경과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WSL에서 ELK를 구축하고 사용하는 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가장 많이 참고한 링크는 Elastic 공식 블로그의 관계형 DB와 Elasticsearch 간의 동기화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글이다. 이 외에도 ELK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서는 Reference가 워낙 많기 때문에 지금은 일단 초보 개발자가 신기술을 도입하기 이전에 '설치'..

IT 2024.02.07

Window11 에서 WSL 설치하기 초간단! 짱쉬움!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WSL - UbuntuWSL은 Windows 운영 체제에서 Linux 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subsystem이다. 쉽게 말하면, 윈도우 유저가 리눅스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같은 것이다.회사에서, 또는 집에서 여러 목적으로 Linux 환경이 필요할 때가 있을텐데 WSL을 이용하여 한 번 진행해보면 좋겠다. 나는 특히 Mac OS나 Ubuntu에서 개발을 처음 시작하다보니 Windows 환경에서 어려움을 느낄 때가 많았고, 결국엔 Cent OS 쪽에서 개발하고 배포해야 하는 경우도 많아서 WSL을 찾아보게 되었다.설치 환경 확인본격적으로 WSL을 설치하기 이전에, 본인의 데스크탑이 가상화 머신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인지 확..

IT 2024.01.04

Windows MySQL 압축파일(zip) 설치 방법

Windows MySQL 압축파일(zip) 설치 방법 MySQL은 보다 간편한 설치를 위해 자체 설치 파일인 msi 파일을 제공하고 있지만, 프로그램보다는 커맨드라인으로 작성하는 것이 편한 입장에서 오히려 관리하기 보다 어려움을 느꼈다. 그래서 zip 파일을 이용해 설치하는 법을 간단히 정리해본다. 참고 링크는 공식 홈페이지와 센솔님의 블로그이다. 개인 컴퓨터는 mac을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회사에서는 Windows를 사용하고 있어 관련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했고, 기존 회사에서 사용하던 DB는 MySQL 5.6.x 버전이라 ngram 풀텍스트 인덱스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어 로컬로 테스트 해볼 겸 5.7.x 버전을 설치해보기로 했다. MySQL 다운로드 MySQL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DOWNLO..

IT 2023.12.27

Tistory와 Obsidian 연동하기

요즘은 애인이랑 같이 어떻게 하면 블로그 관리를 더 잘 할 수 있을지, 꾸준히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궁리를 자주 한다. 그러던 과정에서 'Obsidian’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알게 되었다. 이미 수많은 플러그인이 만들어지고 응용되고 있는 것을 보면, 꽤 많은 사용자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 2년 간의 Notion 유저로서 이미 마크다운(Markdown)에는 익숙함을 느끼고 있었고, 더 늦지 않게 나도 빨리 따라 잡아야겠다! 싶어서 애인에게 속성 강의를 들었다. 이거 보니 잘만 활용하면 마크다운 기반의 문서를 작성할 때 기존에 쓰던 노션이나 비주얼 스튜디오보다 훨씬 쉽고 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노션은 네트워크 환경이 안정적이지 않은 곳에선 자주 버벅이곤 했다.) 그래서 찾아봤다...

IT 2023.10.26